" 플로베르 (Gustave Flaubert )는 예술가란 도덕적 세계를 약간 벗어난 곳에서 군림하는 존재라고 생각했다. 예술가는 판단하거나 설명하거나 가르치려고 해서는 안 되며, 세계를 이해하고 완벽하게 기록할 뿐이다. 플로베르는 감상과 연민을 완전 배제하려고 했으며 그런 점에서 [ 보봐리 부인]은 성공작이다. 하지만 이 소설이 전달하는 메시지는 부정적인 것이다. 우리는 그런 메시지를 이미 [걸리버 여행기]의 책갈피에서 읽은 적이 있다. 스위프트와 마찬가지로 풀 로베르는 인류를 사랑하지 않았다. [보봐리 부인]은 그 초연한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내가 볼 때, 인간 혐오증을 아주 아름답게 표현해 놓은 작품이다" 페이지 292, 클리프턴 패디먼의 평생 독서계획, 이종인 옮김
" Flaubert believed that the artist hovered somewhere above the moral universe, that he should not judge, explain, or teach but merely understand and perfectly record. Insofar as this novel is devoid of sentimentality, as it is of pity, Flaubert succeeded in his aim. Yet it conveys a message, if only a negative one; and that message we have already received in the pages of Gulliver's Travels. Like Swift, Flaubert did not love the human race. Madame Bovary, for all its seeming detachment, seems to me a beautifully organized expression of misanthropy. " page 199, Clifton Fadiman & John S. Major's The New Lifetime Reading Plan
'books 독서 생활 > bookworm 1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앙드레 고르의 에콜로지카에서, 페이지 142 (0) | 2011.07.20 |
---|---|
클리프턴 패디먼의 평생독서계획에서, 페이지 307 (0) | 2011.07.20 |
철학하는 김과장 (0) | 2011.07.16 |
사국 (0) | 2011.06.05 |
부자들의 음모 (0) | 2011.05.18 |